top of page

폭염연구센터 "올해 여름 한반도 평년보다 폭염 가능성 높아"

UNIST 폭염연구센터 보고서…북서 태평양 해수면 온도·평균 온도 높아져 폭염 발생

"지구 기온 상승·시베리아 고기압 약화 등으로 지난겨울 역대 가장 따뜻" 분석

울산과기원 폭염연구센터슈퍼컴퓨팅센터 기상 분석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올해 여름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나타나고, 특히 한반도에는 평년보다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폭염 전문 연구기관 분석이 나왔다.

지난겨울은 지구 기온 상승과 시베리아 고기압 약화 등의 영향으로 한반도 겨울이 역대 가장 따뜻했던 것으로 파악했다.

기상청·기상과학원 지정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폭염연구센터가 상반기 전 세계 기상 기관 등의 자료를 토대로 이런 내용을 담은 올해 폭염 전망 보고서를 냈다고 14일 밝혔다.

세계 기상 기관으로는 미 우주항공국(NASA), 미국 기상청(NWS),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후센터(APCC), 유럽연합(EU) 산하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서비스(C3S), 기상청 등이다.

폭염연구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여름 폭염 전망 부문과 관련해 해외 여러 기상 기관의 기후예측모델(온도와 해수면 온도) 결과를 바탕으로 한 분석을 보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나타날 확률이 50% 이상 예측됐다.

이는 폭염 발생이 평년보다 잦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폭염연구센터는 현재 막대한 열용량을 가지는 전 지구 해수면 온도 변동에 주목하고 있다.

전 지구 평균온도는 4월부터 기록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특히 한반도 인근 북서 태평양과 적도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현재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향이 6월부터 8월까지도 이어져, 한반도에 무더운 여름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폭염연구센터 기상 분석 시뮬레이션 토론

[연합뉴스 자료사진]

열대 적도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예측도 중요한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한반도 여름철 기후는 열대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엘니뇨 혹은 라니냐 상태를 유지하느냐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엘니뇨는 3∼8년 주기로 일어나는 기후변화로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오르고 적도 태평양 무역풍이 약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반대로 라니냐 상태에는 적도 태평양 수온이 평년보다 낮아진 상태가 수개월 지속하는 현상이다.

엘니뇨나 라니냐로 열대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하면 전 지구적으로 갑작스러운 홍수, 폭염, 강한 태풍 등 기상 이변이 일어난다.

폭염연구센터는 최근 적도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중립 상태에서 점차 라니냐 상태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한반도 여름철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폭염연구센터는 또한 북극 바렌츠-카라해 지역에 있는 해빙이 5월 현재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여름철로 접어들며 앞으로 얼마나 더 감소하느냐에 따라 한반도 폭염 발생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폭염연구센터

[울산과기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이어 폭염연구센터는 지난겨울 기후와 관련한 분석에서는 지속적인 지구 전체 기온 상승과 시베리아 고기압 약화, 북극 진동 등의 복합 영향으로 지난해 한반도 겨울이 역대 가장 따뜻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겨우내 평년 기온을 상회하며 전국 평균 기온 3.1도, 평년 대비 편차가 플러스(+) 2.5도를 기록해 역대 가장 온난한 겨울로 기록됐다.

북극 진동은 북극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을 주기로 강해졌다 약해지기를 반복하는 현상이다.

북극 진동이 강해지면 북극권의 차가운 공기가 중위도로 남하하는 것을 막아 한반도는 평년에 비해 온난해 진다.

폭염연구센터는 한반도 기온 상승이 시베리아 고기압이 평년보다 약해서 우리나라로 부는 차고 건조한 북서풍 유입이 적었고, 이와 함께 북극 진동이 겨울철 내내 강하게 유지되면서 한반도가 이례적으로 더운 겨울을 만들었다고 했다.

폭염연구센터는 지난겨울은 계속된 지구 온난화로 전 지구 평균 기온이 2016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하는 등 상승 경향이 뚜렷했다고 밝혔다.

원문참조

https://www.yna.co.kr/view/AKR20200611168100057


Featured Posts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아직 태그가 없습니다.
bottom of page